Learn the World

[패스트캠퍼스 환급반 18] 영상촬영강의, 짐벌 사용 꿀팁, 드론, 타입랩스 본문

마케터의 영상

[패스트캠퍼스 환급반 18] 영상촬영강의, 짐벌 사용 꿀팁, 드론, 타입랩스

Hello Universe 2021. 4. 17. 11:08
반응형

어제 짐벌없이 영상을 자연스럽게 촬영하는 방법을 배웠다. 용호수 강사는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자이로스코프) 짐벌없이도 촬영하는 시대가 금방 올것이기 때문에 짐벌 없이도 짐벌 쓴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래도 짐벌은 아직 대세니깐 꿀팁, 노하우 등을 알려준다고 한다.

짐벌사용하기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은 삼축 짐벌이다. 다만 위아래 흔들리는건 잡지 못하기 때문에 위아래 흔들림은 조심해야 한다.

용호수 강사가 사용하는 짐벌은 Ronin SC. Ronin SC의 컴팩트 버전이다. 

오늘 강의는 짐벌 세팅하는 방법부터 알려준다. 어떻게 고정장치를 끼우고, 세팅하는지에 대해서 시작한다. 카메라가 너무 기울어지지 않게 밸런스를 맞추고, 앞뒤, 좌우를 맞추는 법 부터 하나 하나 알려주는데 짐벌도 없고, 앞으로도 크게 쓸일은 없어서 집중해서 보지는 않았다^^;;

요즘 대부분의 짐벌은 자동으로 카메라 무게를 확인해서 밸런스를 맞춰준다. 짐벌을 사용할 때는 카메라를 돌려도 무게중심이 달라지지 않는 제품이 좋다. 무게 중심이 달라지면 밸런스가 무너지므로! 

기본 3가지 모드가 있고, 요즘 인기 있는 추가 모드도 활용해보면 좋다. 

리얼타임을 찍을 때 30프레임으로 찍으면 미세한 떨림이 자연스럽게 보정되기 때문에 30프레임을 추천한다고 한다. 위 아래가 흔들릴 경우 재생속도를 80%로 하면 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영상의 대부분은 실습 강좌이기 때문에 아 이런 상황에서 이렇게 찍으면 이런 결과물이 나오는구나 하고 보면서 이해하면 끝

 

드론과 그 실효성에 대하여 

용호수 강사는 드론 촬영에 대해 부정적이다. 드론 자체가 규제가 많아지고 있어 콘텐츠 제작에 있어 드론을 구매하고, 촬영하는것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제 드론은 자격증이 필요하고 보험을 들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필요하면 드론에 대한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고용하거나, 영상 스탁에서 드론으로 사용한 클립을 사서 활용하는게 훨씬 경제적이다. 

실질적으로 드론을 가지고, 촬영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 진데다 드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들이 점점 많이 나오고 발전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는다고. 

물론 드론샷은 촬영 장소나 공간감을 보여주기 좋다. 스토리에 이해를 도움을 줄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건물 옥상에 올라가서 짐벌 등을 활용해서 드론을 날린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듯 

 

타입랩스의 목적과 간편한 사용법

타입랩스는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영상이다. 시간을 압축적으로 표현한다. 보통 사진을 한장 한장 찍어서 연결하는 방법으로 만드는데 용호수 강사가 간편하게 타임랩스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고 한다. 

첫번째가 배속재생이고 다른 하나가 S&Q모드이다. S&Q모드는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를 1초에 한장만 찍을 수 있게 세팅하고, 레코딩 세팅은 60p로 해둔다. 60배 퀵 모션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60fps로 촬영이 되었기 때문에 배속을 느리게 재생하면 원하는 속도의 타입랩스를 만들 수 있다.

모션 블러를 위해 조리개를 줄이고 iso를 조정해서 S&Q 모드로 촬영하면 타입랩스 촬영이 가능하다. 나머지는 자세한 세팅과 결과물이기 때문에 패스~

확실히 카메라 세팅과 상황별 촬영 노하우에 강점이 있는 강사라서 강의 후반부로 갈수록 강의 만족도가 높다. 

한번에 끝내는 영상 촬영과 편집 초격차 패키지 Online. https://bit.ly/39F2qiM

 

 

 

한번에 끝내는 영상 촬영과 편집 초격차 패키지 Online. | 패스트캠퍼스

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업(業)'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

fastcampus.co.kr

 

반응형
Comments